조용한 외출_전준 개인전
Quiet Outing_Chon Joon
2007.06.15.(Fri) ─ 2007.07.15.(Sun)

전시를 준비하며 작가의 작업실을 찾아가는 일은 전시의 과정이라는 형식적인 행위를 넘어, 뭐랄까 궁금증이랄까, 일종의 설렘을 동반한다. 전시에서 작품을 보았거나 여러 자료들을 통해 작업실에 가면 어떠한 작업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얼추 알 수 있긴 하지만, 막상 가서 보면 전혀 상상하지 못한 작업들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작품들은 작가와 작업을 이해하는 좋은 실마리가 된다. 때에 따라선 실마리 차원을 넘어 그 자체로 손색없는 작업이 되기도 하는데, 작가들에게는 이들을 들춰내는 일이 가슴 속 오래된 상처를 들쑤시는 행위가 되기도 하는 듯하다. 그러나 전시를 준비하는 이에게는 쾌재가 되는 것을 어쩌랴. 왜냐하면 기획자는 관람객에게 보다 충실히 작가를 소개할 수 있고 관람객은 작가의 경험을 통해 자신을 대리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곧 예술의 역할이기도 하다.

전준의 작업실에서도 표면적으로 알려진 작품들 외에도 초창기의 조각 작업이나 알려지지 않았던 회화작업을 찾아볼 수 있었다. 아마도 이 전시는 이름 없던 그들에게 세상으로의 외출을 주는 기회일 수도 있겠다. 상당히 다양한 재료, 다채로운 형상들의 조형물과 회화 속에서 추상조각가로 알려진 작가의 조형세계의 근원이 될 만한, 일정하게 흐르는 미묘한 정신이 느껴진다. 구상적 추상화(抽象化)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흐름을 찬찬히 살펴보면서 전준 작업의 특징을 다음 3가지로 헤아려보았다. 첫째는 우리의 정체성을 형상화해 왔다는 점이다. 그의 추상작업에서 삶의 낯익은 형상을 찾아낼 수 있다. 하늘과 땅, 노저어 가는 배, 시골의 정겨운 집, 또 감싸 안은 사람인 듯한 형상들을 통해 작가는 우리 삶의 추상화를 추구해 왔다고 여겨진다. 특히 1990년대의 철조 작업에서 이런 관점이 두드러지는데, 이번 전시는 당시의 철조작업을 중심으로 전준의 작업세계를 풀어가고 있다.

둘째는 조각에서 회화성을 찾으려 했다는 점이다. 작가는 대들보나 나무작업에서 상감(象嵌)을 하듯 색(色)을 입힘으로써 조각이라는 무채색 장르에 유채의 회화정신을 접목하는 새로운 변화를 시도했다. 뿐만 아니라 조각가로서는 매우 드물게 캔버스나 한지평면작업에 상당히 많은 공을 들여 작업하고 있는데, 그라인딩 하거나 철사를 눌러 요철효과를 이용하거나 또는 철판을 지져 판화작업을 하는 등 무척 다양한 조각기법들을 이용해 평면작업에서 조각정신을 찾으려 노력했다.

셋째는 소통에 대한 소망이라 할 수 있겠다. 이는 작가가 한결같이 추구해온 ‘소리’라는 주제와 맥을 이루는 것으로, 그에게 ‘소리’는 살아있는 것들의 울림이고 의지이며 또한 소통의 매개체이기도 하다. 그는 생명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 여겨지는 나무, 철, 돌에게서 거기 담겨진 울림을 끄집어내고 물체와 작가와의 소통을, 그리고 작가와 세상과의 소통을 실현하고자 한다. 작은 조각들이 군집을 이룬 형상은 그 소망의 소리를 더욱 증폭시킨다. 이번 전시에서는 여러 가지 소재로 이루어진 군집을 통해 더욱 확대된 소통의 장을 이루게 된다.

전준은 조각적 회화, 회화적 조각 작업을 통해 조각과 회화가 한데 어울리는 독특한 작품세계를 보여준다. 쪼거나 깎아내고 덧칠하고 갈아내는 끊임없는 반복적 행위는 마치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가는 수도자와도 같다. 모든 것이 일회적이고 단편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즈음에 새겨볼 만한 삶의 자세가 아닐까 생각이 든다.

아울러 작가가 30년 가까이 서울대에 재직하면서 우리 조각의 흐름 한가운데 자리하고 있음을 생각해볼 때, 그의 작업을 돌이켜보는 것은 한국 조각의 흐름을 보는 것이기도 하다. 이 전시가 이제까지 회화 중심으로 거론되어왔던 미술계에 조각의 자리를 마련하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그리고 조각이 나아갈 길을 가늠해보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김태령 / 일민미술관 디렉터, 큐레이터

참여작가
전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