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동아미술제 전시기획공모_집-기억 The Cake house
2008 Dong-A Art Festival_The Cake House
2008.09.11.(Thu) ─ 2008.10.12.(Sun)

심사평
동아미술제가 ‘전시기획공모’로 면모를 일신하고 나서 세 번째로 공모심사를 마쳤다. 전시기획은 점점 더 복합적이고 밀도를 요구하는 분야로 진화하고 있다. 시민들의 문화적 향유방식과 전시의 공공성에 대한 점차 높아지는 인식으로 인해 예술창작 못지않게 그것의 제시방법이 지니는 중요성이 더해가고 있다. 동아미술제가 탁월한 전시기획을 지원함으로써 이러한 예술적 수용의 변화하는 패러다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한 것은 적절하고도 의미 있는 결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좋은 전시기획은 훌륭한 작가들을 만들어낼 뿐 아니라 예술에 대한 시민들의 보다 성숙한 관점을 만든다.
이번 동아미술제는 회화 분야 6편, 조각분야 3편, 사진2편, 영상, 공예, 디자인 분야 각 1편씩, 그리고 복합적인 매체를 이용한 창작분야가 절대적인 다수를 차지하는 32편 등으로 총 46편의 기획안이 제출되었다. 이중에는 본인의 개인전에 대한 기획안이 2편이 있어 심사에서 제외되었다. 이번 동아미술제 전시기획공모의 방향 및 심사기준을 요약하자면 ‘전시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기획안’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기존의 전시형식이나 내용을 반복적으로 답습하기 보다는 새로운 구성방식과 쟁점을 제공할 수 있는 제안을 높이 평가하고자 하였다.
심사대상이 된 총 44편의 응모 안들 가운데 그러한 전시방식의 형식적, 내용적 독자성을 보여주는 사례들은 많지 않았지만, 톡톡 튀는 흥미로운 아이디어들도 물론 있었다. 예컨대, 이부록의 와 김계현의 <2008 ‘우리 마니 아야’>는 매우 독특하고도 파격적인 제안이라는 점에서 심사위원들에게서 호감을 이끌어 내었지만, 전시기획자의 개인적 프로젝트인지 그룹 전시인지 모호한 구현방식이나 전시의 내용에 있어 설득력이 충분치 않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주제의 흥미로움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아카데믹하거나 상투적인 전시방법론 때문에 주저하게 만든 기획안들도 있었고, 내용의 탄탄함과 참여가 거론된 작가들의 탁월한 면면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비슷한 유형의 전시들과의 차별화가 약하다는 점이 심사의 방향과 상충된 경우들도 있었다. 특히 하지훈의 <전통+디자인>은 장르를 구분하지 않는다는 공모원칙에 비추어 최신 제품디자인 기법과 장인적 전통기술을 접맥한다는 아이디어 때문에 디자인 분야임에도 매우 커다란 관심을 불러일으켰지만, 참여작가 수와 디자인 쟁점의 제기에 있어 충분히 야심적이라는 인상을 주지 못했다.
결국 6편으로 줄이고 다시 한 번 더 줄이는 과정에서 비-선형적인 전시 내러티브의 실험을 제안한 김태은의 <집-기억>과 한국-중국 간의 서로를 바라보는 시점을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기록하고 재해석하고자 한 나정조의 <근재지척(近在咫尺>의 2편으로 심사가 압축되었다. 전자는 예술가들이 임의로 선택한 한 ‘집’에서 모여 각자 그 집에 대한 이야기를 자신의 작품을 통해 만들어 이어나가는 방식의 전시로서, 전시기획과 개별 작가들의 참여가 서로 시너지를 창출해 낼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하였다. 후자는 참여작가들이 주로 중국과 오랜 관련을 맺고 있는 한국인들이며, 비록 잘 알려지지 않은 작가들이지만 그들의 이야기 자체가 오늘날의 한-중 관계 속에서 여전히 중요한 요소로서 기능하고 있는 각 개인들의 자발적 시선을 잘 이끌어내는 전시가 될 것이라 평가되었다. 결국 이 두 기획안의 저자들과 최종 인터뷰를 가졌으며, 이를 통해 <집-기억>이 공모에 단독으로 선정되었다.

유진상 / 심사위원장
김희령, 반이정, 임근준, 정용도 / 심사위원

기획글
전시<집-기억>은 이러한 단순한 명제에서 기획되었다. 기억장치는 누구나 태어나면서 가지고 있는 우수한 재현의 도구이다. 그리고 뇌 안에서 판단하고 인지하는 과정을 거쳐 선택적으로 재생시킨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미지로 재현된 미술 전시장의 작품도 이러한 기억된 서술의 결과로 나타난 재현기억이라 보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뇌(Brain)’라는 신경생리학적 개념은 미술과 재현의 여과과정을 거쳐 ‘집(House)’으로 탈바꿈 된다. 미술관에 전시되는 집은 사람이 사는 용도의 집이 아닌 우리의 관념 속에 있는 또 다른 뇌로써의 집이다.
대상-재현이라는 공식은 이미 기억과 재생이라는 입력-출력(input-output)의 인과관계를 전제로 한다. 기억된 사실은 재현의 여러 과정을 통해 다양한 출력output을 내 보낸다. 우리 하기도 하며, 글이나 그림으로써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다양한 재현장치들은 또 다시 타인에게서 기억장치에 의해 기록된다. 결국 현재는 눈 깜짝 할 사이에 지나가고 순간 나를 스쳐간 모든 사실들은 과거로써 기억되기 시작한다. 그래서 미술에서 재현이라는 것은 기억된 서술이라 할 수 있다.
미술작품이 전시되는 전시장. 이 공간을 하나의 커다란 유기체로 본다. 전시장은 기억작용을 하는 인간의 뇌(Brain)다. 하나의 에피소드를 조립하는 과정이며 서로 다양한 재현을 만들어 내면서 네트워크를 이룬다. 네트워크로 조립된 뇌는 집이라는 대상으로 치환된다. 집은 물질로 가득 채워지지 않는 텅 빈 관념의 집이다. 여기에 하나의 에피소드가 재현을 시작한다.

김태은 / 기획자

참여작가
김태은, 유비호, 김영섭, 송영규, 차혜림

기획
김태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