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sa[44]의 〈얼굴들 2020〉 아카이브 도록 증정 안내
《새일꾼 1948-2020》전시 기간 중 관객 참여형 프로젝트인 Sasa[44]의 〈얼굴들 2020〉에 참여하신 분들에게 아카이브 도록을 증정합니다. 기간 내에 일민미술관에 방문하시면 도록을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기 간 2020.08.19(.수) - 2020.12.31.(목) 수령방법 일민미술관 1층 안내데스크에 방문하여 참여자 명단 확인 후 도록을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 전시 기간 중 작품에 참여한 분들만 도록을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 도록은 참여자 1인당 1권씩...
(재)일민문화재단(일민미술관) 직원 채용 공고
서울 광화문에 위치한 (재)일민문화재단은 일민미술관을 운영하고 있는 비영리재단입니다. (재)일민문화재단과 함께 할 역량 있는 인재를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채용인원 및 직책 - 근무무서: 행정팀 -채용인원: 1명 (팀원) 근무 조건 1) 근무기간 : 수습3개월 이후 1년 계약(근무평가 후 재계약 가능) 2) 근무시간 - 월~금 주 5일 (근무시간 09:30-18:30) - 공휴일, 주말 당직근무 월 1회 이상 (근무시간 11시-17시) 3) 급여 : 재단 보수 규정에 따름...
일민미술관 전시해설사 채용 공고
일민미술관은 1996년 개관 이래 근 25년간 대한민국 예술 분야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 현대미술의 흐름을 읽어내는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여 왔습니다. 2020년 하반기, 일민미술관에서 다양한 분야의 동시대 예술가들과 함께 근대 100년을 재구성하는 전시를 개최하며 예술과 대중 간의 유기적 소통을 확장해 나가는데 함께 할 전시해설사를 아래와 같이 채용하고자 하오니 많은 지원 바랍니다. ◎ 모집인원 - 총 1명 ◎ 근무조건 1) 근무기간: 2020년 8월 ~ 2020년 12월...
[입법극장] 5화 ‹다수결은 옳고, 곧 민주주의다?›
입법극장 5화 ‹다수결은 옳고 곧 민주주의다?› 오늘날 민주주의의 전세계적 역행을 고발하는 애스트라 테일러의 저서 『민주주의는 없다』를 토대로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 사각지대를 짚어보고, 우리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어떻게 민주주의를 재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사회학자, 예술가, 변호사 등이 참여해 연극과 책, 예술작품, 법적 상상을 경유한 토론의 장을 펼쳐보입니다. [프로그램 개요] 일시: 6월 19일 수요일 7-9PM 장소: 일민미술관 1전시실...
[입법극장] 4화 ‹동성혼은 법제화되어야 한다?›
입법극장 4화 ‹동성혼은 법제화되어야 한다?› 커밍아웃, 동성연애, 동성결혼 '성 소수자'가 받는 '차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입법극장› 4화에서는 예술가, 오픈 퀴어, 법조인, 국회의원과 함께 소수자를 향한 사회적 인식과 포괄적 차별금지법에 대해 논의합니다. 성 소수자와 그들 가족의 이야기로 꾸며지는 이번 ‹입법극장›에 직접 참여해 보시기 바랍니다. [프로그램 개요] 일시: 6월 17일 수요일 6:30-9PM 장소: 일민미술관...
[입법극장] 3화 ‹예술가는 뭘로 돈 벌어요?›
입법극장 3화 ‹예술가는 뭘로 돈 벌어요?› ‹입법극장› 3화는 '시각예술가'들의 창작의 의미와 사회적 가치에 대해 논의합니다. 예술가, 당대표, 예술기관 담당자 등 다양한 패널과 함께 예술인 고용 보험법과 권리 보장에 대해 깊이 있는 토론의 시간을 가질 예정이오니 현재 예술가로 활동하는 분, 앞으로 전업예술가의 삶을 꿈꾸는 분, 예술의 사회적 가치에 관심있는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프로그램 개요] 일시: 6월 10일...
[입법극장] 텀블벅 OPEN
억압받는 사람들의 토론 연극 ‹입법극장› 텀블벅 OPEN ⠀ ⠀ 인터랙티브 극장과 행동주의 예술의 결합무대, 소외되고 차별 받아온 커뮤니티의 토론 연극 ‹입법극장›의 영상 기록물 제작을 위한 텀블벅을 오픈하였습니다 텀블벅을...
[입법극장] 제2화 ‹지구와의 협상은 이미 늦었다?›
입법극장 제2화 ‹지구와의 협상은 이미 늦었다?› ‹입법극장› 2화는 전염병 및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공장식 축산업에 주목하고, 현재의 축산업이 인류와 지구 생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합니다. 사회학자, 변호사, 예술가 등 다양한...
[입법극장] 제1화 ‹뉴노말 가족›
입법극장 제1화 ‹뉴노말 가족› 아이 돌봄, 노인 돌봄. 누가 하고 있나요? 전통적인 가족제도에서 '돌봄'은 암묵적으로 여성의 몫으로 그려지곤 했습니다. 2020년을 사는 우리에게 유교적 가치관과 가부장제에 뿌리를 둔 가족 제도 이외의 선택지는 없는 것일까요? 입법극장 ‹뉴노말 가족›은 '돌봄'에 있어 여전히 작동하는 불평등에 의문을 던지고 정치적, 예술적 상상력을 통해 새로운 대안을 논의합니다. 아이를 낳고 싶지 않아. 애는 왜 나 혼자 키워? 부모 부양은 누구 책임일까?...
《새일꾼 1948-2020》 연계프로그램 〈입법극장〉 참여 안내
대국민 찬반토론 〈입법극장〉 ⠀ 현재의 다양한 사회 제도가 품지 못하는 법의 사각지대와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퍼포먼스형 참여 프로그램 〈입법극장〉이 5월 20일부터 6월 14일까지 매주 수요일 일민미술관에서 열립니다. 《새일꾼 1948-2020》의 연계 프로그램인 〈입법극장〉은 사회적, 정치적으로 소외되었던 커뮤니티 주체들이 자신의 목소리로 문제를 직접 발언하고, 정책 입안자들과의 대화와 토론을 통해 입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 토크, 토론, 강연,...